남미 지역에서 대표적인 빈곤국의 하나로 꼽히는 파라과이가 전력 사정만큼은 선진국 부럽지 않은 여유를 누리고 있다고 브라질 일간 에스타도 데 상파울루가 24일 보도했다.
브라질과 아르헨티나 등 인접국에서 가뭄과 이에 따른 수력발전량 부족으로 전력공급 위기설이 제기되고 있는 것과는 달리 파라과이는 세계에서 몇 안되는 전력 잉여 국가로 평가되고 있다.
인구 700만명의 파라과이는 전체 전력 생산량 가운데 불과 13% 정도만을 소비하고 나머지는 수출하고 있다.
브라질-파라과이 접경에 위치한 이타이푸(Itaipu) 수력발전소에서 생산되는 전력 가운데 절반인 4만5천GWh는 대부분 브라질에 수출하고 있다.
이와 함께 파라과이는 자체 보유한 발전소를 통해 1천GWh, 아르헨티나와 공동 운영하고 있는 야시레타(Yacyreta) 수력발전소에서는 6천GWh의 전력을 생산하고 있다.
이타이푸 수력발전소를 제외한 2개 수력발전소의 발전량 7천GWh만으로도 자국 내 전력 소비량을 감당하기에 충분한 수준이다.
이에 따라 파라과이에서는 전력난에 빠지고 있는 브라질과 아르헨티나에 대한 수출을 확대해 판매수입을 높이자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그러나 지난 1973년 브라질과 파라과이 간에 체결된 이타이푸 조약은 이 수력발전소에서 생산되는 전력 가운데 파라과이 국내 소비량을 제외한 잉여 전력을 브라질에만 판매하도록 돼있다. 브라질은 이 조약을 이용해 전력을 헐값에 사들이면서 남부 및 남동부 지역의 전력 소비량을 충당하고 있다.
’파라과이의 수력발전 주권 회복’이라는 책을 쓴 리카르도 카네세는 “파라과이가 이타이푸 수력발전소에서 얻어지는 전력을 정상적인 시장가격으로 판매할 경우 최소한 연간 36억 달러의 수입을 올릴 수 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 금액은 현재 파라과이 국내총생산(GDP)의 절반 가까운 수준이다.
이 때문에 오는 4월 20일 대선을 앞둔 파라과이의 여야 후보들은 이구동성으로 이타이푸 조약 개정을 요구하고 있다.
특히 여론조사 1위를 달리고 있는 야권후보인 페르난도 루고 전 가톨릭 신부의 경우 “집권할 경우 이타이푸 조약의 개정을 즉각 브라질에 요구해 전력 판매가격 인상과 전력의 자유로운 판매를 추진할 것”이라면서 브라질 정부가 이를 받아들이지 않을 경우 ’에너지 주권’ 확보 차원에서 국제사법재판소에 제소할 것이라고 밝히고 있다.
상대적으로 브라질에 우호적인 여론조사 2위의 우파야당 후보 리노 오비에도와 집권 콜로라도당의 블랑카 오벨라르(여) 후보도 이타이푸 조약 개정을 대선공약에 포함시키겠다는 입장을 나타내면서 브라질 정부와 재계를 긴장시키고 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