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남미 지속가능발전 국제협력 민관학연 포럼
지속가능발전과 생태문명 사회로의 전환을 위한 대안 담론과 실천 방안
일 시: 9월 16일(금) 오전 9시 ~ 오후 18시 30분
장 소: 한국외대 미네르바 컴플렉스 지하2층 국제회의실
한국외대 스마트도서관 5층 휠라아쿠시네트홀
주 최: 한국외대 중남미연구소 HK+사업단
후 원: 한국외국어대학교, 한국연구재단
PROGRAM
9:00-9:30 등 록
9:30-10:00 개회식 한국외대 미네르바 컴플렉스 지하2층 국제회의실
사 회: 하상섭 (한국외대 중남미연구소 HK+ 사업단 교수)
· 개회사: 신정환 (한국외대 중남미연구소 HK+ 사업단 단장)
· 축 사: 강금실 ((재)지구와사람 대표)
최종욱 (외교부 중남미국 국장)
10:00-11:40 세션 A-1 지구법학 한국외대 미네르바 컴플렉스 지하2층 국제회의실
좌 장: 곽재성 (경희대 국제대학원 교수)
· 자연의 법적 위상에 대한 지구법학적 평가: 오동석 (아주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 (재)지구와사람)
· ‘꿀벌실종’과 한국 기업의 ESG 경영에 대한 지구중심적 접근: 최정호 (서울대 빅데이터 혁신공유대학 사업단 교수 / (재)지구와사람)
· 국제 온실가스 감축협약의 정치ㆍ경제적 의미와 과제: 조영탁 (한밭대 경제학과 교수)
10:00-11:40 세션 A-2 지속가능발전 정책 I 한국외대 스마트도서관 5층 휠라아쿠시네트홀
좌 장: 김원호 (한국외대 국제지역대학원 교수)
·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한중남미 기후변화 대응 협력 현황: 박민경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전문위원)
· 중미지역 소규모 농가 기후변화 이해와 실천 : KOICA프로젝트 교훈: 강승헌 (한국국제협력단 중남미실 실장)
· 대중남미 외교정책 및 지속가능발전 협력 방향: 홍상희 (외교부 남미과 과장)
13:00-14:10 세션 B-2 신유물론 한국외대 미네르바 컴플렉스 지하2층 국제회의실
좌 장 김창민 (서울대 라틴아메리카연구소 소장)
· 신유물론으로 본 달콤쌉싸름한 초콜릿: 김태중 (대구 가톨릭대학교 교수)
· 신유물론으로 살펴본 창세신화 연구_제주도 창세신화와 마야창세신화를 중심으로: 장영창 (나사렛대학교 교수)
· 신유물론으로 본 안데스철학 : 횡단성의 원리: 박호진 (한국외대 중남미연구소 HK+ 사업단 교수)
14:20-15:30 세션 C-2 지속가능발전 정책 II 한국외대 미네르바 컴플렉스 지하2층 국제회의실
좌 장 이상일 (동국대 생태환경연구소 소장)
· 한-중남미 환경산업 진출 및 활성화 방안: 임현정 (한국환경산업기술원 해외사업개발실 실장)
· 중남미 국가의 STI for SDGs 동향과 협력 방안: 박환일 (과학기술정책연구원 글로벌혁신전략연구본부 본부장)
· 중남미 유전자원의 접근 및 이익공유(ABS) 체제: 권소현 (과학기술정책연구원 글로벌혁신전략연구본부 선임연구원)
13:00-14:10 세션 B-1 인문생태학 한국외대 스마트도서관 5층 휠라아쿠시네트홀
좌 장 송상기 (고려대학교 서어서문과 교수)
· 『잃어버린 발자취』의 여성상으로 살펴본 생태주의: 황수현 (경희대 중남미연구소 소장)
· 기후변화 위기와 가톨릭 생태사상의 부상: 조영현 (부산외대 중남미지역원 교수)
· Para cero, 2022년 새로운 패러다임을 위한 조건: 최명호 (부산외대 중남미지역원 교수)
14:20-15:30 세션 C-1 동물권과 동물권리: 현재와 미래 한국외대 스마트도서관 5층 휠라아쿠시네트홀
좌 장 박병도 (건국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 동물권리에 관한 이론과 판례 경향 : 라틴아메리카를 중심으로: 조희문 (한국외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 동물권과 동물권리 : 한국의 사례: 서국화 (PNR 변호사)
· 동물학대를 통해 본 동물권의 실현가능성: 김윤주 (변호사)
15:40-17:00 세션 D-1 중남미 생태문명연구 I 한국외대 스마트도서관 5층 휠라아쿠시네트홀
좌 장 이상현 (전북대학교 스페인·중남미연구소 소장)
· 칠레 남부 도시의 기상과 대기오염 특성 연구: 장유운 (한국외대 중남미연구소 HK+ 사업단 교수)
· 해양생태의 지정학과 브라질: 이미정 (한국외대 중남미연구소 HK+ 사업단 교수)
· 중미 국가에서의 기후변화와 이주 : 지속가능발전에 대한 시사점: 이승호 (대외경제정책연구원 부연구위원)
15:40-17:00 한국외대 미네르바 컴플렉스 지하2층 국제회의실
· 한-중남미 생태전환을 위한 공동연구 학술양해각서(MOU) 체결:
한윤정 (한신대학교 생태문명원 대표) - 신정환 (한국외대 중남미연구소 HK+ 사업단 단장)
세션 D-2 생태경제 한국외대 미네르바 컴플렉스 지하2층 국제회의실
좌 장 정건화 (한신대 경제학과 교수)
· 생태경제의 대안들과 한국사회에서의 적용: 김병권 (전 정의정책연구소 소장)
· 생태경제학에서 바라본 탈성장의 경로: 박숙현 (지속가능시스템연구소 소장)
· 생태경제와 순환사회로의 전환: 이승무 (순환경제연구소 소장)
17:10-18:20 세션 F-1 그린경제 한국외대 미네르바 컴플렉스 지하2층 국제회의실
좌 장: 한병길 (한·중남미협회 회장)
· 중남미의 ‘녹색성장’ 정책과 추진 과제: 신숭철 (전 베네수엘라 대사)
· 중남미 그린경제 현황 및 한-중남미 협력방안: 전홍조 (전 스페인 대사)
· 중미공동시장의 무역 효과와 한국의 대 중미 개발 협력에 관한 시사점: 권기수 (한국외대 포어과 교수)
· 방호경 (한국개발연구원 전문위원)
17:10-18:20 세션 F-2 중남미 생태문명 연구 II 한국외대 스마트도서관 5층 휠라아쿠시네트홀
좌 장 유왕무 (한국스페인어문학회 회장)
· 존재론적 전환의 탈식민화 : 라틴아메리카 생태-존재론의 새로운 지평: 박경은 (한국외대 중남미연구소HK+ 사업단 교수)
· 벨리즈에서의 식민권력과 목재산업 : 마호가니 나무의 벌목을 중심으로: 이성재 (충북대 역사교육과 교수)
· 『켈트의 꿈』에 형상화된 자본주의의 폭력: 조구호 한국외대 중남미연구소HK+ 사업단 교수)
18:20-18:30 폐회식 한국외대 미네르바 컴플렉스 지하2층 국제회의실
사 회: 하상섭 (한국외대 중남미연구소 HK+ 사업단 교수)
· 폐회사 신정환 (한국외대 중남미연구소 HK+ 사업단 단장)
122.40.83.23